|
 |
|
|
|
 |
Home > 연삭숫돌소개 > 연삭숫돌의 정의 |
|
 |
|
 |
|
 |
|
5인자 |
내 용 |
지 립 |
연삭날을 형성하는 연삭지립의 종류를 말한다 |
입 도 |
지립의 크기를 말한다 |
결 합 도 |
지립을 지지하는 Bond Bridge의 강하기 정도를 말한다 |
조 직 |
지석의 단위 체적중에 지립이 차지하는 용적비율을 나타내며,
조밀의 정도를 표시한다 |
결 합 재 |
지립을 지지하고 있는 결합재료의 종류를 말한다 |
|
|
|
 |
|
 |
|
 |
|
 |
|
 |
|
(1) 연삭작업시 작용순서 |
|
 |
|
(2) 연삭작업시 숫돌면의 4형태 |
|
 |
|
|
정상형
(Self Sharping) |
마멸형
(Glazing) |
탈락형
(Shedding) |
기공막힘형
(Loading) |
작용 |
자생작용이 잘됨 |
지립자체가 마모됨 |
연삭저항에 의해 지립이 심하게 탈락됨 |
기공중에 칩이 끼어 자생작용이 안됨 |
숫돌표면 |
지립사이가 좁고 칩이 끼지 않음 |
지립이 평평하게 되고 숫돌면에 광택이 난다 |
지립사이가 넓고 칩이 끼지 않음 |
연삭칩이 숫돌전면에 부착됨 |
연삭저항 |
지립탈락형보다는 높지만 안정하여 변하지 않는다 |
높으며, 안정되어 있다 |
낮다 |
높의며,변화가 심하다 |
숫돌의
마모도 |
초기에는 크지만 지립 탈락형보다 작고 안정하다 |
초기에는 크지만 후에는 작다 |
크고, 변화한다. |
연삭작업으로는 마모가 작으나,Dressing으로 실제마모는 크다 |
사상면과
사상정도 |
사상면은 곱고 조도도 좋의며 가공정도도 높다 |
발열이 심해 Burning현상이 생기고, 사상면도 나쁘다 |
사상면 정도도 나쁘고 사상면의 조도도 나쁘다 |
사상면은 쥐어 뜯은 것 같고 Burning 현상과 피삭체에 잔금이 발생하고 조도도 나쁘다 |
현상이 생기는숫돌 |
최적숫돌 |
결합도가 강함 |
결합도가 약하고 입도가 거칠다 |
입도는 세(곱다)
조직은 밀(치밀하다)
결합도는 경(강하다) |
|
|
|
|
|
|
|